편성교과목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1/1학기 전선 4144001
건축·토목·환경공학개론 (Introduction to Architectural,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4001
  • 교과목명 : 건축·토목·환경공학개론 (Introduction to Architectural,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 토목, 환경 기술자의 사회적 역할을 이해하며 향후 진로 등에 대한 사전 정보 제공을 통해 향후 전공 선택 및 학업에 기초적 도움 및 소양을 배양한다. 건축의 정의, 건축과 공간_구조, 건축과 시공_재료, 건축과 환경_컴퓨터 등 건축의 기본적, 전반적인 지식 습득과 세부 전공 분류 등을 소개한다. 토목공학의 4대 주요전공 분야인 지반공학, 구조공학, 수공학 및 측량공학을 학습한다. 최근 국내외에서 완공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주요 토목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환경공학 세부분야인 수질, 대기, 폐기물 분야에서의 환경오염으로 인한 문제점들과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적인 대안에 대해서 소개한다.

    • English

      This subject introduces the basic knowledge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ncluding the definition of architecture, architecture and space _ structure,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_ materials,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_ computers, and detailed major classific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 토목, 환경 기술자의 사회적 역할을 이해하며 향후 진로 등에 대한 사전 정보 제공을 통해 향후 전공 선택 및 학업에 기초적 도움 및 소양을 배양한다. 건축의 정의, 건축과 공간_구조, 건축과 시공_재료, 건축과 환경_컴퓨터 등 건축의 기본적, 전반적인 지식 습득과 세부 전공 분류 등을 소개한다. 토목공학의 4대 주요전공 분야인 지반공학, 구조공학, 수공학 및 측량공학을 학습한다. 최근 국내외에서 완공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주요 토목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환경공학 세부분야인 수질, 대기, 폐기물 분야에서의 환경오염으로 인한 문제점들과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적인 대안에 대해서 소개한다.

  • English

    This subject introduces the basic knowledge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ncluding the definition of architecture, architecture and space _ structure,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_ materials,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_ computers, and detailed major classification.

닫기
1/1학기 전선 4144991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4991
  • 교과목명 :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진로탐색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path and dream-design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진로탐색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path and dream-design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2학기 전선 4144002
창의적공학설계 (Creative Engineering Design)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4002
  • 교과목명 : 창의적공학설계 (Creative Engineering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0-(3)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창의성의 개념과 사고과정을 교육하고 창의성에 바탕하여 도출된 기본적인 아이디어 형상화하고 설계를 개념화 하여 향후, 접하게 될 실무와 전공분야에 대하여 흥미를 갖게함으로써 시대적 환경변화에 대처하고 전공분야와 융.복합을 위한 창의적 길라잡이 대한 필요한 기본적 개념을 익힌다.

    • English

      This course educates the creative concept and thinking process. The basic idea extracted from the creativity base will be embodied and conceptualized, and the design will be performed.

    닫기
3 0 0 (3) 상세보기
  • 국문

    창의성의 개념과 사고과정을 교육하고 창의성에 바탕하여 도출된 기본적인 아이디어 형상화하고 설계를 개념화 하여 향후, 접하게 될 실무와 전공분야에 대하여 흥미를 갖게함으로써 시대적 환경변화에 대처하고 전공분야와 융.복합을 위한 창의적 길라잡이 대한 필요한 기본적 개념을 익힌다.

  • English

    This course educates the creative concept and thinking process. The basic idea extracted from the creativity base will be embodied and conceptualized, and the design will be performed.

닫기
2/1학기 전선 4133007
응용역학1 (Applied Mechanics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07
  • 교과목명 : 응용역학1 (Applied Mechanic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다양한 종류의 하중을 받고 있는 탄성체의 거동을 다루는 학문분야로서 재료 역학의 기초적인 이론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인장, 압축, 전단, 축방향을 받는 부재, 비틀림, 전단력과 굽힘 모멘트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을 관련 예제 문제의 풀이과정을 통하여 습득한다. 3. 토목공학자에게 요구되는 재료 역학의 기본개념과 이론을 습득하게 하여 구조공학, 지반공학, 수리학, 측량학 등의 전공분야 과목을 효과적으로 이수할 수 있는 학습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English

      1.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learn the basic theory of material mechanics as a discipline dealing with the behavior of elastic members under various kinds of loads. 2. The basic concepts and theories of tension, compression, shear, axial members, torsion, shear forces, and bending moments are learned by solving related example problems. 3.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concepts and theories of material mechanics required by civil engineers to cultivate their ability to effectively study subjects such as structural engineering, geotechnical engineering, hydraulics, and survey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다양한 종류의 하중을 받고 있는 탄성체의 거동을 다루는 학문분야로서 재료 역학의 기초적인 이론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인장, 압축, 전단, 축방향을 받는 부재, 비틀림, 전단력과 굽힘 모멘트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을 관련 예제 문제의 풀이과정을 통하여 습득한다. 3. 토목공학자에게 요구되는 재료 역학의 기본개념과 이론을 습득하게 하여 구조공학, 지반공학, 수리학, 측량학 등의 전공분야 과목을 효과적으로 이수할 수 있는 학습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English

    1.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learn the basic theory of material mechanics as a discipline dealing with the behavior of elastic members under various kinds of loads. 2. The basic concepts and theories of tension, compression, shear, axial members, torsion, shear forces, and bending moments are learned by solving related example problems. 3.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concepts and theories of material mechanics required by civil engineers to cultivate their ability to effectively study subjects such as structural engineering, geotechnical engineering, hydraulics, and surveying.

닫기
2/1학기 전선 4133044
유체역학1 (Fluid Mechanics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44
  • 교과목명 : 유체역학1 (Fluid Mechanic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유체와 관련된 여러 가지 힘들과 운동을 해석할 수 있는 기본적 원리들을 학습하는 것이 목표이다. 2. 유체의 성질과 힘의 평형방정식을 이용하여 정수역학 개념들이 해석된다. 또한 유체흐름을 해석하기 위한 연속방정식, 운동방정식, 운동량방정식에 대한 기본방정식들이 유도되고 해석된다. 3. 학생들은 물리적 법칙에 따라 유체의 정수역학적, 동수역학적 개념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study the basic concepts about various forces and motions related to the fluids. 2. The static fluid mechanics is studied by using the properties of fluids and equilibrium balance equation of forces In addition, the continuity equation, the equation of motion, and the momentum equation are derived and investiga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fluid flows. 3. The students in this class can get some concepts of fluid mechanics statically and dynamically based on the physics law.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유체와 관련된 여러 가지 힘들과 운동을 해석할 수 있는 기본적 원리들을 학습하는 것이 목표이다. 2. 유체의 성질과 힘의 평형방정식을 이용하여 정수역학 개념들이 해석된다. 또한 유체흐름을 해석하기 위한 연속방정식, 운동방정식, 운동량방정식에 대한 기본방정식들이 유도되고 해석된다. 3. 학생들은 물리적 법칙에 따라 유체의 정수역학적, 동수역학적 개념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study the basic concepts about various forces and motions related to the fluids. 2. The static fluid mechanics is studied by using the properties of fluids and equilibrium balance equation of forces In addition, the continuity equation, the equation of motion, and the momentum equation are derived and investiga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fluid flows. 3. The students in this class can get some concepts of fluid mechanics statically and dynamically based on the physics law.

닫기
2/1학기 전선 4133097
위치정보시스템 (Global Positioning Information System)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97
  • 교과목명 : 위치정보시스템 (Global Positioning Information System)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응용 측량, 설계, 도로 설계 등의 측량 공학 과정을위한 전제 조건으로 학생들은 측량 공학의 일반적인 개념을 확립하고 측량 장비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기술을 배웁니다. 2. 졸업 후 현지에서 사용하는 측량의 기초와 기술을 습득합니다. 3. 이 클래스를 통해 학생들은 응용 연구 설계 과정으로 이어질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토목 공학의 실제 설계에 대한 실질적인 조사 설계의 기초를 배웁니다.

    • English

      1. As a prerequisite for taking courses in surveying engineering such as applied surveying, design, and road design, students will establish the general concept of surveying engineering and learn the basic skills of using surveying equipment. 2. Master the basics of surveying and the skills to use in the field after graduation. 3. Through this class, students will acquire the basic knowledge that leads to applied survey design course, and will learn the basics of practical survey design for actual design in civil engineering.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1. 응용 측량, 설계, 도로 설계 등의 측량 공학 과정을위한 전제 조건으로 학생들은 측량 공학의 일반적인 개념을 확립하고 측량 장비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기술을 배웁니다. 2. 졸업 후 현지에서 사용하는 측량의 기초와 기술을 습득합니다. 3. 이 클래스를 통해 학생들은 응용 연구 설계 과정으로 이어질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토목 공학의 실제 설계에 대한 실질적인 조사 설계의 기초를 배웁니다.

  • English

    1. As a prerequisite for taking courses in surveying engineering such as applied surveying, design, and road design, students will establish the general concept of surveying engineering and learn the basic skills of using surveying equipment. 2. Master the basics of surveying and the skills to use in the field after graduation. 3. Through this class, students will acquire the basic knowledge that leads to applied survey design course, and will learn the basics of practical survey design for actual design in civil engineering.

닫기
2/1학기 전선 4133098
토목전산제도 (Computer Aided Design for Civil Engineering)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98
  • 교과목명 : 토목전산제도 (Computer Aided Design for Civil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토목전산제도는 오토캐드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기본 적산도면과 실무도면을 제도능력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2차원 도면을 중심적으로 실무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암기, 토목산업기사 실기에 출제되는 기본 적산도면과 실무도면을 보고 따라하기 위주로 학습한다. 3. 이를 통해 학생들은 토목 도면을 이해하고, 도면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 English

      1. ‘Civil computational drafting’ aims to acquire the basic integrative drawing and practical drawing by using AutoCAD. 2. Focusing on 2D drawings, this course mainly instructs to memorize commands used in practical affairs, and to see and follow basic integrated drawings and practical drawings. 3. This allows students to understand civil drawings and develop their ability to work on drawings.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1. 토목전산제도는 오토캐드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기본 적산도면과 실무도면을 제도능력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2차원 도면을 중심적으로 실무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암기, 토목산업기사 실기에 출제되는 기본 적산도면과 실무도면을 보고 따라하기 위주로 학습한다. 3. 이를 통해 학생들은 토목 도면을 이해하고, 도면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 English

    1. ‘Civil computational drafting’ aims to acquire the basic integrative drawing and practical drawing by using AutoCAD. 2. Focusing on 2D drawings, this course mainly instructs to memorize commands used in practical affairs, and to see and follow basic integrated drawings and practical drawings. 3. This allows students to understand civil drawings and develop their ability to work on drawings.

닫기
2/1학기 전선 4144003
건설·환경수학 (Constructio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Mathematic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4003
  • 교과목명 : 건설·환경수학 (Constructio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Mathema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 토목, 환경 공학분야에 필요한 기초수학에 대해 학습하여 실제 구조물을 대상으로 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about basic mathematics required in the fields of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to enable application to real structur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 토목, 환경 공학분야에 필요한 기초수학에 대해 학습하여 실제 구조물을 대상으로 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about basic mathematics required in the fields of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to enable application to real structures.

닫기
2/1학기 전선 4144004
안전공학 (Safety Engineering)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4004
  • 교과목명 : 안전공학 (Safety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안전공학은 재해가 발생하는 수를 감소시키고 노동의 위험성을 낮추는 것이 목표이다. 재해가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노동의 위험을 파악하여 그 방지에 필요한 과학 및 기술에 관해 습득한다. 산업의 위험방지 기술과 심리적 현상 및 사회적 현상을 인지하여 안전한 산업현장을 구축할 수 있다.

    • English

      Safety engineering aims to reduce the number of accidents and reduce the risk of labor. Identify the causes of disasters and the risks of labor, and learn the science and technology necessary to prevent them. It is possible to build a safe industrial site by recognizing industrial risk prevention technologies, psychological and social phenomena.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안전공학은 재해가 발생하는 수를 감소시키고 노동의 위험성을 낮추는 것이 목표이다. 재해가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노동의 위험을 파악하여 그 방지에 필요한 과학 및 기술에 관해 습득한다. 산업의 위험방지 기술과 심리적 현상 및 사회적 현상을 인지하여 안전한 산업현장을 구축할 수 있다.

  • English

    Safety engineering aims to reduce the number of accidents and reduce the risk of labor. Identify the causes of disasters and the risks of labor, and learn the science and technology necessary to prevent them. It is possible to build a safe industrial site by recognizing industrial risk prevention technologies, psychological and social phenomena.

닫기
2/2학기 전선 4133001
토목재료및실험 (Materials and Laboratory Tests for Civil Engineering)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01
  • 교과목명 : 토목재료및실험 (Materials and Laboratory Tests for Civil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토목재료 및 실험은 토목구조물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이론 및 실험 지식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2. 다양한 토목재료 중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시멘트, 골재, 콘크리트, 금속재료 및 역청재료를 중심으로 재료의 성질을 학습한다. 3. 이를 통해 학생들의 재료의 기본적 성질을 충분히 파악, 이해하여 적재적소에 사용함으로써 합리적인 구조물의 설계, 시공 능력을 키운다.

    • English

      1. ‘Civil engineering materials and experiments’ are aimed at acquiring theory and experimental knowledge of materials used to build civil structures. 2. The properties of materials are studied mainly on cement, aggregate, concrete, metallic materials, and bituminous materials, which are the most used among various civil engineering materials. 3.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can increase the ability to design and construct reasonable structures by sufficiently understand the basic properties of materials and use them in the right place.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1. 토목재료 및 실험은 토목구조물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이론 및 실험 지식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2. 다양한 토목재료 중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시멘트, 골재, 콘크리트, 금속재료 및 역청재료를 중심으로 재료의 성질을 학습한다. 3. 이를 통해 학생들의 재료의 기본적 성질을 충분히 파악, 이해하여 적재적소에 사용함으로써 합리적인 구조물의 설계, 시공 능력을 키운다.

  • English

    1. ‘Civil engineering materials and experiments’ are aimed at acquiring theory and experimental knowledge of materials used to build civil structures. 2. The properties of materials are studied mainly on cement, aggregate, concrete, metallic materials, and bituminous materials, which are the most used among various civil engineering materials. 3.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can increase the ability to design and construct reasonable structures by sufficiently understand the basic properties of materials and use them in the right place.

닫기
2/2학기 전선 4133011
응용역학2 (Applied Mechanics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11
  • 교과목명 : 응용역학2 (Applied Mechanic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다양한 종류의 하중을 받고 있는 탄성체의 거동을 다루는 학문분야로서 재료 역학의 기초적인 이론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보에서의 응력, 응력과 변형률의 해석, 평면응력의 적용, 기둥 설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을 관련 예제 문제의 풀이과정을 통하여 습득한다. 3. 토목공학자에게 요구되는 재료 역학의 기본개념과 이론을 습득하게 하여 구조공학, 지반공학, 수리학, 측량학 등의 전공분야 과목을 효과적으로 이수할 수 있는 학습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English

      1.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learn the basic theory of material mechanics as a discipline dealing with the behavior of elastic members under various kinds of loads. 2. Basic concepts and theories of stress in beams, analysis of stresses and strains, application of planar stresses, and column design are learned through solving the relevant example problems. 3.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concepts and theories of material mechanics required by civil engineers to cultivate their ability to effectively study subjects such as structural engineering, geotechnical engineering, hydraulics, and survey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다양한 종류의 하중을 받고 있는 탄성체의 거동을 다루는 학문분야로서 재료 역학의 기초적인 이론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보에서의 응력, 응력과 변형률의 해석, 평면응력의 적용, 기둥 설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을 관련 예제 문제의 풀이과정을 통하여 습득한다. 3. 토목공학자에게 요구되는 재료 역학의 기본개념과 이론을 습득하게 하여 구조공학, 지반공학, 수리학, 측량학 등의 전공분야 과목을 효과적으로 이수할 수 있는 학습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English

    1.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learn the basic theory of material mechanics as a discipline dealing with the behavior of elastic members under various kinds of loads. 2. Basic concepts and theories of stress in beams, analysis of stresses and strains, application of planar stresses, and column design are learned through solving the relevant example problems. 3.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concepts and theories of material mechanics required by civil engineers to cultivate their ability to effectively study subjects such as structural engineering, geotechnical engineering, hydraulics, and surveying

닫기
2/2학기 전필 4133046
유체역학2 (Fluid Mechanics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3046
  • 교과목명 : 유체역학2 (Fluid Mechanic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유체의 운동에 따른 힘과 저항의 특성을 학습하는 것이 목표이다. 2. 연속방정식, 운동방정식, 운동량방정식이 관수로 및 개수로의 흐름 해석에 응용된다. 또한 차원해석 및 상사성에 대한 원리를 학습한다. 3. 학생들은 관수로 및 개수로 흐름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 개념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study the features of forces and resistances due to fluid flows. 2. The continuity equation, the equation of motion, and the momentum equation are applied to the pipe flows and the open channel flows. Additionally, the dimensional analysis and similitude are also studied. 3. The students in this class can get some basic concepts to understand the pipe flows and the open channel flow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유체의 운동에 따른 힘과 저항의 특성을 학습하는 것이 목표이다. 2. 연속방정식, 운동방정식, 운동량방정식이 관수로 및 개수로의 흐름 해석에 응용된다. 또한 차원해석 및 상사성에 대한 원리를 학습한다. 3. 학생들은 관수로 및 개수로 흐름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 개념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study the features of forces and resistances due to fluid flows. 2. The continuity equation, the equation of motion, and the momentum equation are applied to the pipe flows and the open channel flows. Additionally, the dimensional analysis and similitude are also studied. 3. The students in this class can get some basic concepts to understand the pipe flows and the open channel flows.

닫기
2/2학기 전선 4133088
스마트수처리시스템 (Smart Water Treatment System)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88
  • 교과목명 : 스마트수처리시스템 (Smart Water Treatment System)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구조물이나 사회기반시설을 구축할 때 필수불가결한 수자원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배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수자원 정보를 활용하여 활용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학습한다. 3. 전공에 접목되는 정보 기술에 대하여 습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learn a system for managing indispensable water resources when constructing structures or infrastructure. 2. Learn about a system that collects and utilizes data to utilize water resource information. 3. Learn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applied to major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구조물이나 사회기반시설을 구축할 때 필수불가결한 수자원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배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수자원 정보를 활용하여 활용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학습한다. 3. 전공에 접목되는 정보 기술에 대하여 습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learn a system for managing indispensable water resources when constructing structures or infrastructure. 2. Learn about a system that collects and utilizes data to utilize water resource information. 3. Learn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applied to majors.

닫기
2/2학기 전선 4133116
토목지질학 (Engineering Geolog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116
  • 교과목명 : 토목지질학 (Engineering Ge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기초 지질학 및 응용지질학을 학습하여 암반역학 및 터널공학의 수강을 위한 기초지식을 습득을 목표로 한다. 2. 지질의 거동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과 방향을 이해한다. 3. 실무자의 관점에서 보는 학습을 터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learn basic geology and applied geology to acquire basic knowledge for taking rock mechanics and tunnel engineering. 2. Understand the general theory and direction of geological behavior. 3. Learn from the practitioner's perspectiv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기초 지질학 및 응용지질학을 학습하여 암반역학 및 터널공학의 수강을 위한 기초지식을 습득을 목표로 한다. 2. 지질의 거동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과 방향을 이해한다. 3. 실무자의 관점에서 보는 학습을 터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learn basic geology and applied geology to acquire basic knowledge for taking rock mechanics and tunnel engineering. 2. Understand the general theory and direction of geological behavior. 3. Learn from the practitioner's perspective.

닫기
3/1학기 전선 4133012
수리학 (Hydraulic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12
  • 교과목명 : 수리학 (Hydraul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자유수면을 갖는 흐름을 해석하기 위한 방법과 개념을 학습하는 것이 목표이다. 2. 개수로에 대한 학습으로 수위 산정 방법과 흐름의 분류를 학습한다. 흐름에 의한 토사의 유송을 해석한다. 또한 유량측정 방법과 수리모형실험에 대한 원리를 학습한다. 3. 학생들은 개수로 흐름을 해석하고 설계할 수 있는 방법들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study the methods and concepts to analyze the open channel flows. 2. The methods of calculating water depths and classification of flows are studied intensively. The transportation of sediment in the fluvial bed is also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principles about the measurement of discharge and the experimental methods are studied under various conditions. 3. The students in this class can get the methods to analyze and design the open channel flow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자유수면을 갖는 흐름을 해석하기 위한 방법과 개념을 학습하는 것이 목표이다. 2. 개수로에 대한 학습으로 수위 산정 방법과 흐름의 분류를 학습한다. 흐름에 의한 토사의 유송을 해석한다. 또한 유량측정 방법과 수리모형실험에 대한 원리를 학습한다. 3. 학생들은 개수로 흐름을 해석하고 설계할 수 있는 방법들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study the methods and concepts to analyze the open channel flows. 2. The methods of calculating water depths and classification of flows are studied intensively. The transportation of sediment in the fluvial bed is also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principles about the measurement of discharge and the experimental methods are studied under various conditions. 3. The students in this class can get the methods to analyze and design the open channel flows.

닫기
3/1학기 전필 4133019
토질역학및실험1 (Soil Mechanics and Laboratory Tests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3019
  • 교과목명 : 토질역학및실험1 (Soil Mechanics and Laboratory Tests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흙의 역학적 기본특성과 관련 이론을 습득하는 것이 목표이다. 2.흙의 생성과 분류, 흙의 기본적 물성과 구조, 흙의 지반공학적 특성 (다짐, 투수성, 압축성), 유효응력법칙, 침투이론, 지중중력, 압밀이론에 관한 학습을 실시한다. 3.이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흙의 거동에 대한 기초원리를 습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learn the basic properties of soil and related theories. 2. Students learn about soil creation , basic properties and soil structure, geotechnical properties of soil (compaction, permeability, compressibility), effective stress law, penetration theory, underground gravity, and consolidation theory. 3. Through this class, students 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soil behavior.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1.흙의 역학적 기본특성과 관련 이론을 습득하는 것이 목표이다. 2.흙의 생성과 분류, 흙의 기본적 물성과 구조, 흙의 지반공학적 특성 (다짐, 투수성, 압축성), 유효응력법칙, 침투이론, 지중중력, 압밀이론에 관한 학습을 실시한다. 3.이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흙의 거동에 대한 기초원리를 습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learn the basic properties of soil and related theories. 2. Students learn about soil creation , basic properties and soil structure, geotechnical properties of soil (compaction, permeability, compressibility), effective stress law, penetration theory, underground gravity, and consolidation theory. 3. Through this class, students 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soil behavior.

닫기
3/1학기 전선 4133086
상하수도시스템공학 (Water and Sewage System Engineering)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86
  • 교과목명 : 상하수도시스템공학 (Water and Sewage System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상수도와 하수도의 정의와 의미를 습득하여 운영하는 시스템을 이해하는 것이 목표이다 2. 상하수도 시설의 개요 및 과정, 상수도의 계획에서부터 처리까지 또한 하수도의 처리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을 수리학적 이해를 통해 학습한다. 3. 상하수도시스템을 통해 인간의 생활과 환경의 보전을 이루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system that operates by learning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water supply and sewerage. 2. Students will learn through the hydraulic understanding of the overview and process of water and sewage facilities, the planning and treatment of waterworks, and the overall process of sewage treatment. 3. Acquire the ability to achieve and manage human life and the environment through water and sewage system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상수도와 하수도의 정의와 의미를 습득하여 운영하는 시스템을 이해하는 것이 목표이다 2. 상하수도 시설의 개요 및 과정, 상수도의 계획에서부터 처리까지 또한 하수도의 처리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을 수리학적 이해를 통해 학습한다. 3. 상하수도시스템을 통해 인간의 생활과 환경의 보전을 이루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system that operates by learning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water supply and sewerage. 2. Students will learn through the hydraulic understanding of the overview and process of water and sewage facilities, the planning and treatment of waterworks, and the overall process of sewage treatment. 3. Acquire the ability to achieve and manage human life and the environment through water and sewage systems.

닫기
3/1학기 전필 4133099
정정구조해석 (Analysis of Statically Determinated Structur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3099
  • 교과목명 : 정정구조해석 (Analysis of Statically Determinated Stru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본 과목의 목적은 수강생들이 정적구조물의 구조적 특성과 해석 방법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는데 있다. 2. 정적 트러스, 보, 프레임과 같은 정적구조물의 구조해석을 위한 기초적인 원리에 대하여 강의 한다. 3. 본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정적 구조물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 English

      1.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provide the solid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methods of the statically determinate structures to the students. 2. This course is focused on the providing the basic theory to analysis the statically determinate structures, such as statically determinate trusses, beams, and frames. 3. From this course, the ability to analysis of statically determinate structures can be provided to the studen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본 과목의 목적은 수강생들이 정적구조물의 구조적 특성과 해석 방법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는데 있다. 2. 정적 트러스, 보, 프레임과 같은 정적구조물의 구조해석을 위한 기초적인 원리에 대하여 강의 한다. 3. 본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정적 구조물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 English

    1.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provide the solid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methods of the statically determinate structures to the students. 2. This course is focused on the providing the basic theory to analysis the statically determinate structures, such as statically determinate trusses, beams, and frames. 3. From this course, the ability to analysis of statically determinate structures can be provided to the students.

닫기
3/1학기 전선 4133100
토목RC공학 (Reinforced Concrete for Civil Engineering)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100
  • 교과목명 : 토목RC공학 (Reinforced Concrete for Civil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토목RC공학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거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필요한 기분적인 개념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콘크리트와 철근콘크리트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재료의 특성들에 관해 학습한다. 기본적인 철근콘크리트의 거동에 관한하여 학습한다. 3. 이를 통해 학생들은 철근콘크리트의 이론 및 개념 습득을 통하여 토목RC설계를 위한 기초 능력을 적립할 수 있다.

    • English

      1. Reinforced Concrete for Civil Engineering aims to acquire the basic concepts to understand and predict the behavior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2.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concrete and reinforced concrete and learn about material properties. Also, learn about the basic behavior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3.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can earn basic skills for ‘Reinforced Concrete for Civil Engineering design’ by learning theories and concepts of reinforced concret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토목RC공학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거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필요한 기분적인 개념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콘크리트와 철근콘크리트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재료의 특성들에 관해 학습한다. 기본적인 철근콘크리트의 거동에 관한하여 학습한다. 3. 이를 통해 학생들은 철근콘크리트의 이론 및 개념 습득을 통하여 토목RC설계를 위한 기초 능력을 적립할 수 있다.

  • English

    1. Reinforced Concrete for Civil Engineering aims to acquire the basic concepts to understand and predict the behavior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2.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concrete and reinforced concrete and learn about material properties. Also, learn about the basic behavior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3.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can earn basic skills for ‘Reinforced Concrete for Civil Engineering design’ by learning theories and concepts of reinforced concrete.

닫기
3/1학기 전선 4133101
하중저항계수강구조설계 (Load Resistance Factor Design of Steel Structure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101
  • 교과목명 : 하중저항계수강구조설계 (Load Resistance Factor Design of Steel Structure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강구조의 일반적인 특성과 다양한 하중을 받는 강구조 부재의 설계를 배우는 것이 목적이다. 2. 강구조 부재의 설계를 위하여 하중 저항 계수 설계법과 허용 강도 설계법을 배우며, 두 설계 방법에 의한 예제 문제의 풀이를 통하여 설계법의 올바른 적용을 효과적으로 익힌다. 주된 교과내용은 강구조설계의 개념, 인장재, 압축재, 보의 설계이다. 3. 강구조 설계에 필요한 기본개념과 이론을 습득하게 하여 실무에서 활용성을 배양하도록 한다.

    • English

      1. The objective is to lear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eel structures and the design of steel structural members subjected to various loads. 2. In order to design the steel structural members, we study the load resistance factor design method and the allowable strength design method, and learn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design method through solving the example problems by the two design methods. The main contents are the concept of steel structure design, design of tension members, compression members and beams. 3.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concepts and theories required for steel structure design, and develop their practicality in practic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강구조의 일반적인 특성과 다양한 하중을 받는 강구조 부재의 설계를 배우는 것이 목적이다. 2. 강구조 부재의 설계를 위하여 하중 저항 계수 설계법과 허용 강도 설계법을 배우며, 두 설계 방법에 의한 예제 문제의 풀이를 통하여 설계법의 올바른 적용을 효과적으로 익힌다. 주된 교과내용은 강구조설계의 개념, 인장재, 압축재, 보의 설계이다. 3. 강구조 설계에 필요한 기본개념과 이론을 습득하게 하여 실무에서 활용성을 배양하도록 한다.

  • English

    1. The objective is to lear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eel structures and the design of steel structural members subjected to various loads. 2. In order to design the steel structural members, we study the load resistance factor design method and the allowable strength design method, and learn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design method through solving the example problems by the two design methods. The main contents are the concept of steel structure design, design of tension members, compression members and beams. 3.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concepts and theories required for steel structure design, and develop their practicality in practice.

닫기
3/1학기 전선 4133102
토목시공학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102
  • 교과목명 : 토목시공학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본 강의에서는 토공, 지반공학, 교량 및 다양한 건설구조물과 관련된 건설기술을 학습을 목표로한다. 2. 강의를 통한 학습능력 향상으로 토목기사 자격증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3. 자격증 습득을 통한 개인 능력향상을 도모한다.

    • English

      1. This course aims to learn construction techniques related to earthwork, geotechnical engineering, bridges, and various construction structures. 2. To prepare for civil engineer certification exams by improving learning ability through lectures. 3. We plan to improve individual abilities through acquiring qualificatio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본 강의에서는 토공, 지반공학, 교량 및 다양한 건설구조물과 관련된 건설기술을 학습을 목표로한다. 2. 강의를 통한 학습능력 향상으로 토목기사 자격증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3. 자격증 습득을 통한 개인 능력향상을 도모한다.

  • English

    1. This course aims to learn construction techniques related to earthwork, geotechnical engineering, bridges, and various construction structures. 2. To prepare for civil engineer certification exams by improving learning ability through lectures. 3. We plan to improve individual abilities through acquiring qualifications.

닫기
3/1학기 전선 4144005
건설·환경융합기초공학 (Fundamentals of Convergent Engineering for Construction and the Environment)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4005
  • 교과목명 : 건설·환경융합기초공학 (Fundamentals of Convergent Engineering for Construction and the Environ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건축, 토목, 환경 공학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개념과 지식을 융합하여 각 전공별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학문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intended for students to understa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isciplines of architectural,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so that they can integrate various concepts and knowledge from all the disciplines for a diverse range of applicatio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건축, 토목, 환경 공학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개념과 지식을 융합하여 각 전공별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학문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intended for students to understa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isciplines of architectural,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so that they can integrate various concepts and knowledge from all the disciplines for a diverse range of applications

닫기
3/2학기 전선 4133018
수리학및실험 (Hydraulics and Laboratory Test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18
  • 교과목명 : 수리학및실험 (Hydraulics and Laboratory Test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유체역학의 기본 개념을 확장하여 물체에 작용하는 정수력 및 동수력을 계산하는 것이 목표이다. 2. 관수로에 대한 집중적인 학습으로 관 마찰 및 관련 에너지 손실을 산정하여 다양한 관로 시스템에 적용 해석한다. 3. 학생들은 다양한 물체에 작용하는 유체력과 관망 시스템을 해석하고 설계할 수 있다.

    • English

      1.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calculate accurately the static and dynamic forces by the expansion of the basic concepts of fluid mechanics. 2. The shear stress and energy losses in the pipe flows are intensively studied and applied to various pipe systems. 3. The students in this class can analyze the interaction of fluid flow and the objects inside fluids, and also design the pipe network system.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1. 유체역학의 기본 개념을 확장하여 물체에 작용하는 정수력 및 동수력을 계산하는 것이 목표이다. 2. 관수로에 대한 집중적인 학습으로 관 마찰 및 관련 에너지 손실을 산정하여 다양한 관로 시스템에 적용 해석한다. 3. 학생들은 다양한 물체에 작용하는 유체력과 관망 시스템을 해석하고 설계할 수 있다.

  • English

    1.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calculate accurately the static and dynamic forces by the expansion of the basic concepts of fluid mechanics. 2. The shear stress and energy losses in the pipe flows are intensively studied and applied to various pipe systems. 3. The students in this class can analyze the interaction of fluid flow and the objects inside fluids, and also design the pipe network system.

닫기
3/2학기 전선 4133023
토질역학및실험2 (Soil Mechanics and Laboratory Tests 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23
  • 교과목명 : 토질역학및실험2 (Soil Mechanics and Laboratory Tests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흙의 역학적 기본특성과 관련 이론을 습득하는 것이 목표이다. 2.흙의 전단강도, 수평토압, 기초의 지지력, 사면 안정에 관한 내용 등 실무와 관련된 토질역학의 주제들을 이해하고 학습을 실시한다. 3.이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흙의 거동에 대한 기초원리를 습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learn the basic properties of soil and related theories. 2.Understand and study the topics of soil mechanics related to practical practices such as shear strength of the soil, horizontal pressure, support capacity of the foundation, and content on slope stability. 3. Through this class, students 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soil behavior.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1.흙의 역학적 기본특성과 관련 이론을 습득하는 것이 목표이다. 2.흙의 전단강도, 수평토압, 기초의 지지력, 사면 안정에 관한 내용 등 실무와 관련된 토질역학의 주제들을 이해하고 학습을 실시한다. 3.이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흙의 거동에 대한 기초원리를 습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learn the basic properties of soil and related theories. 2.Understand and study the topics of soil mechanics related to practical practices such as shear strength of the soil, horizontal pressure, support capacity of the foundation, and content on slope stability. 3. Through this class, students 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soil behavior.

닫기
3/2학기 전선 4133027
수문학 (Hydrolog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27
  • 교과목명 : 수문학 (Hydr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수문학에서는 지구상에서 발생되는 수문순환의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2. 이를 위하여 기후변화의 이해, 강우자료의 해석, 유출관계 분숙기법의 이해, 홍수추적 기법 및 빈도분석에 관한 학습을 진행한다. 3.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토목공학을 바탕으로 수자원설계에 필요한 기초원리를 습득한다.

    • English

      1. In this class, we will study about the introduction to hydrologic principles, water circulation, climate change, rainfall-runoff relationship, flood routing, and frequency analysi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수문학에서는 지구상에서 발생되는 수문순환의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2. 이를 위하여 기후변화의 이해, 강우자료의 해석, 유출관계 분숙기법의 이해, 홍수추적 기법 및 빈도분석에 관한 학습을 진행한다. 3.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토목공학을 바탕으로 수자원설계에 필요한 기초원리를 습득한다.

  • English

    1. In this class, we will study about the introduction to hydrologic principles, water circulation, climate change, rainfall-runoff relationship, flood routing, and frequency analysis.

닫기
3/2학기 전선 4133050
부정정구조해석 (Analysis of Statically Indeterminated Structure)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50
  • 교과목명 : 부정정구조해석 (Analysis of Statically Indeterminated Stru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본 과목은 응용역학 및 정정구조해석 원리를 이용하여 부정정구조물을 해석하는데 목표가 있다. 2. 이를 위하여 구조물의 처짐에 대하여 학습하고 이 후 하중법과 변위법에 의한 부정정 구조해석을 수행한다. 3. 이를 통하여 학생은 부정정구조물의 거동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

    • English

      1. The object of this course is to provide the ability to analysis of statically indeterminate structures based on the principles of basic mechanics. 2. For this, lecture for the deflection of the structure will be given as followed by the force and displacement method for the statically indeterminate structures. 3. From this course, the students can have the solid understanding about the behavior of statically indeterminate structur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본 과목은 응용역학 및 정정구조해석 원리를 이용하여 부정정구조물을 해석하는데 목표가 있다. 2. 이를 위하여 구조물의 처짐에 대하여 학습하고 이 후 하중법과 변위법에 의한 부정정 구조해석을 수행한다. 3. 이를 통하여 학생은 부정정구조물의 거동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

  • English

    1. The object of this course is to provide the ability to analysis of statically indeterminate structures based on the principles of basic mechanics. 2. For this, lecture for the deflection of the structure will be given as followed by the force and displacement method for the statically indeterminate structures. 3. From this course, the students can have the solid understanding about the behavior of statically indeterminate structures.

닫기
3/2학기 전필 4133103
토목RC설계 (Reinforced Concrete Design for Civil Engineering)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3103
  • 교과목명 : 토목RC설계 (Reinforced Concrete Design for Civil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토목RC설계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걔념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해석과 설계에 대한 관계, 휨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해석과 설계, 전단 설계, 장주의 설계, 슬라브의 설계를 학습한다. 3. 이를 통해 학생들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본 설계에 대한 기초적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 English

      1.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for Civil Engineer’ aims to acquire the basic concepts to desig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2. This course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sis and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elements such as bending, shearing and compression. Bending design, shear design, long column design, slab design are included in the course content. 3.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can cultivate basic skills for the basic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닫기
3 1 0 (2) 상세보기
  • 국문

    1. 토목RC설계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걔념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해석과 설계에 대한 관계, 휨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해석과 설계, 전단 설계, 장주의 설계, 슬라브의 설계를 학습한다. 3. 이를 통해 학생들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본 설계에 대한 기초적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 English

    1.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for Civil Engineer’ aims to acquire the basic concepts to desig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2. This course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sis and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elements such as bending, shearing and compression. Bending design, shear design, long column design, slab design are included in the course content. 3.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can cultivate basic skills for the basic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닫기
3/2학기 전필 4133117
위치정보응용시스템 (Global Positioning Information Applied System)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3117
  • 교과목명 : 위치정보응용시스템 (Global Positioning Information Applied System)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정보기술 시대의 급속한 정보화와 더불어 종합적인 공간정보공학분야의 지식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2. 공공 및 산업분야에서의 지리정보 시스템, 지적 및 토지정보시스템, 위성측위시스템의 지식습득을 수행 3. 관련 자격증(지적기사, 측량 및 공간정보기사 등) 취득을 통한 전문 인력으로 관련 분야에 진출 가능

    • English

      1.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acquire knowledge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engineering as well as the rapid informatization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era. 2. Acquire knowledg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Land Information System,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in the public and industrial sectors. 3. It is possible to enter related fields as a professional manpower by obtaining relevant certifications (Engineer Cadastral Surveying, Engineer Surveying Geo-Spatial Information, etc.)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1. 정보기술 시대의 급속한 정보화와 더불어 종합적인 공간정보공학분야의 지식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2. 공공 및 산업분야에서의 지리정보 시스템, 지적 및 토지정보시스템, 위성측위시스템의 지식습득을 수행 3. 관련 자격증(지적기사, 측량 및 공간정보기사 등) 취득을 통한 전문 인력으로 관련 분야에 진출 가능

  • English

    1.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acquire knowledge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engineering as well as the rapid informatization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era. 2. Acquire knowledg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Land Information System,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in the public and industrial sectors. 3. It is possible to enter related fields as a professional manpower by obtaining relevant certifications (Engineer Cadastral Surveying, Engineer Surveying Geo-Spatial Information, etc.)

닫기
3/2학기 전선 4133118
암반공학 (Rock Engineering)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118
  • 교과목명 : 암반공학 (Rock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토목지질학 및 토질역학에서 수강한 내용을 바탕으로 암석 및 암반의 공학적 특성 및 실무적용에 대한 학습을 목표로 한다.2. 암반의 고유한 성질에 따른 거동이론을 습득한다.3. 암반시공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습득이 가능하다.

    • English

      1. It aims to learn about engineering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rocks and rock based on the contents taken in civil geology and soil mechanics.2. Students learn the theory of behavior according to the intrinsic properties of the rock.3. It is possible to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rock construc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토목지질학 및 토질역학에서 수강한 내용을 바탕으로 암석 및 암반의 공학적 특성 및 실무적용에 대한 학습을 목표로 한다.2. 암반의 고유한 성질에 따른 거동이론을 습득한다.3. 암반시공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습득이 가능하다.

  • English

    1. It aims to learn about engineering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rocks and rock based on the contents taken in civil geology and soil mechanics.2. Students learn the theory of behavior according to the intrinsic properties of the rock.3. It is possible to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rock construction.

닫기
3/2학기 전선 4144992
직업선택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4992
  • 교과목명 : 직업선택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직업선택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path and dream-design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직업선택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path and dream-design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4/1학기 전선 4133028
기초공학 (Foundation Engineering)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28
  • 교과목명 : 기초공학 (Foundation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토질역학 지식을 바탕으로 지반공학 실무에서 흔히 문제가 될 수 있는 구조물 기초에 관한 이론을 습득하는것이 목표이다. 2. 기초의 적용분야 옹벽, 사면 등 다양한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에 대하여 습득한다. 3. 기초의 종류에 따른 원리를 습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learn the theory of structure foundation, which can be a common problem in geotechnical practice, based on knowledge of soil mechanics. 2. Applied fields of foundation Students learn abou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various structures such as retaining walls and slopes. 3. Learn the principles for each type of found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토질역학 지식을 바탕으로 지반공학 실무에서 흔히 문제가 될 수 있는 구조물 기초에 관한 이론을 습득하는것이 목표이다. 2. 기초의 적용분야 옹벽, 사면 등 다양한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에 대하여 습득한다. 3. 기초의 종류에 따른 원리를 습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learn the theory of structure foundation, which can be a common problem in geotechnical practice, based on knowledge of soil mechanics. 2. Applied fields of foundation Students learn abou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various structures such as retaining walls and slopes. 3. Learn the principles for each type of foundation.

닫기
4/1학기 전선 4133032
항만공학 (Harbour Engineering)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32
  • 교과목명 : 항만공학 (Harbour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해수면의 정의와 파랑의 발생 및 전파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목표이다. 2. 파랑을 해석하기 위한 미소진폭파 이론과 회절, 굴절, 천수, 반사 및 쇄파에 대하여 공부한다. 또한 항만 구조물과의 상호관계, 항만의 개발 및 계획에 대하여 공부한다. 3. 학생들은 항만 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기본 개념들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understand physically about the definition of water level, the wave generation, and transformation during wave progress. 2. The small amplitude wave theory for the linear wave, the diffraction, refraction, shoaling, reflection, and wave breaking are studied theoretically. In addition, the planning and developments of harbor as well as the interaction of harbor structures and waves are also studied. 3. The students in this class can get the basic concepts required in the design of harbor structur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해수면의 정의와 파랑의 발생 및 전파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목표이다. 2. 파랑을 해석하기 위한 미소진폭파 이론과 회절, 굴절, 천수, 반사 및 쇄파에 대하여 공부한다. 또한 항만 구조물과의 상호관계, 항만의 개발 및 계획에 대하여 공부한다. 3. 학생들은 항만 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기본 개념들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objective of this class is to understand physically about the definition of water level, the wave generation, and transformation during wave progress. 2. The small amplitude wave theory for the linear wave, the diffraction, refraction, shoaling, reflection, and wave breaking are studied theoretically. In addition, the planning and developments of harbor as well as the interaction of harbor structures and waves are also studied. 3. The students in this class can get the basic concepts required in the design of harbor structures.

닫기
4/1학기 전필 4133051
하천공학및설계 (River Engineering and Design)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3051
  • 교과목명 : 하천공학및설계 (River Engineering and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하천공학및설계에서는 수리학, 수문학 등의 물 관련 과목에서 학습한 기초이론을 활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2. 특히 하천의 개발과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조사, 각종 계획의 구성 및 내용, 수공구조물의 설계기준과 같이 실제 하천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응용사례를 학습한다. 3. 이 과목을 통해 물과 관련된 실질적인 설계와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여 사회진출에 대비하도록 한다.

    • English

      In this class, we are going to study important concepts in river engineering such as management of sediment, investigation in river,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 computer models for the planning and management, and urban flood management

    닫기
3 1 0 (2) 상세보기
  • 국문

    1. 하천공학및설계에서는 수리학, 수문학 등의 물 관련 과목에서 학습한 기초이론을 활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2. 특히 하천의 개발과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조사, 각종 계획의 구성 및 내용, 수공구조물의 설계기준과 같이 실제 하천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응용사례를 학습한다. 3. 이 과목을 통해 물과 관련된 실질적인 설계와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여 사회진출에 대비하도록 한다.

  • English

    In this class, we are going to study important concepts in river engineering such as management of sediment, investigation in river,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 computer models for the planning and management, and urban flood management

닫기
4/1학기 전선 4133106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 (Design of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106
  • 교과목명 :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 (Design of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프리스트레콘크리트는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보 설계 이론학습과 설계를 통해 실무응용 능력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2. 프리스트레스트 기본개념과 재료의 역학적 성질을 습득,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방법, PS 강재의 긴장 방법과 정착방법을 학습한다. 3.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기본개념을 쉽게 이해하고, 구조물의 해석과 설계에 대한 기초적 능력을 확고히 적립할 수 있다.

    • English

      1. ‘Prestressed Concrete’ aims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prestressed concrete and to acquire practical application skills through the learning theory of beam design. 2. This course focuses on basic concepts of prestressing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And, learn how to design and construct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3.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and achieve fundamental ability to analyze and design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프리스트레콘크리트는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보 설계 이론학습과 설계를 통해 실무응용 능력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2. 프리스트레스트 기본개념과 재료의 역학적 성질을 습득,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방법, PS 강재의 긴장 방법과 정착방법을 학습한다. 3.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기본개념을 쉽게 이해하고, 구조물의 해석과 설계에 대한 기초적 능력을 확고히 적립할 수 있다.

  • English

    1. ‘Prestressed Concrete’ aims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prestressed concrete and to acquire practical application skills through the learning theory of beam design. 2. This course focuses on basic concepts of prestressing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And, learn how to design and construct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3.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and achieve fundamental ability to analyze and design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닫기
4/1학기 전선 4133107
강구조시스템공학 (Design of Steel Structure System)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107
  • 교과목명 : 강구조시스템공학 (Design of Steel Structure System)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이 과목의 목적은 강구조 부재의 단순연결과 편심연결에 대한 설계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2. 또한 강구조와 콘크리트의 합성구조의 거동 및 설계방법에 대하여 이해하며, 강구조 부재의 설계방법이 종합적으로 적용되는 플레이트 거더에 대한 설계방법에 대해서도 배운다. 3. 학생들은 강구조 부재의 연결방법과 설계방법을 이해하고 구조물을 해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1.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learn how to design simple and eccentric connections of steel structural members. 2. In addition,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behavior and design method of composite structure of steel and concrete, and learn about design method of plate girders to which steel structural member design method is applied comprehensively. 3. Students cultivate the ability to understand how to connect and design steel structural members and interpret structur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이 과목의 목적은 강구조 부재의 단순연결과 편심연결에 대한 설계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2. 또한 강구조와 콘크리트의 합성구조의 거동 및 설계방법에 대하여 이해하며, 강구조 부재의 설계방법이 종합적으로 적용되는 플레이트 거더에 대한 설계방법에 대해서도 배운다. 3. 학생들은 강구조 부재의 연결방법과 설계방법을 이해하고 구조물을 해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1.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learn how to design simple and eccentric connections of steel structural members. 2. In addition, students will learn about the behavior and design method of composite structure of steel and concrete, and learn about design method of plate girders to which steel structural member design method is applied comprehensively. 3. Students cultivate the ability to understand how to connect and design steel structural members and interpret structures.

닫기
4/1학기 전선 4133108
교통망이론 (Theory of Traffic Network)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108
  • 교과목명 : 교통망이론 (Theory of Traffic Network)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교통망 이론은 교통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수리학 초석을 활용하는 방법 습득을 목표로 한다. 2. 교통의 개념, 평형개념, 혼잡개념, 최소화 문제의 정식화 및 해법, 최적경로문제 등에 대해 학습한다. 3. 교통 흐름의 이론을 통해 실제적 기술에 활용할 수 있으며 4차산업에 필요한 중요한 학문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transportation network theory aims to learn how to use the cornerstones of hydraulics to understand the flow of traffic. 2. Study on the concept of transportation, the concept of equilibrium, the concept of congestion, the formulation and solution of the minimization problem, and the optimal path problem. 3. Through the theory of traffic flow, it can be used for practical technology and acquires important studies necessary for the 4th industr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교통망 이론은 교통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수리학 초석을 활용하는 방법 습득을 목표로 한다. 2. 교통의 개념, 평형개념, 혼잡개념, 최소화 문제의 정식화 및 해법, 최적경로문제 등에 대해 학습한다. 3. 교통 흐름의 이론을 통해 실제적 기술에 활용할 수 있으며 4차산업에 필요한 중요한 학문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transportation network theory aims to learn how to use the cornerstones of hydraulics to understand the flow of traffic. 2. Study on the concept of transportation, the concept of equilibrium, the concept of congestion, the formulation and solution of the minimization problem, and the optimal path problem. 3. Through the theory of traffic flow, it can be used for practical technology and acquires important studies necessary for the 4th industry.

닫기
4/1학기 전필 4133111
지반구조물공학 (Geostructural Engineering)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3111
  • 교과목명 : 지반구조물공학 (Geostructural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지반공학 실무에서 널리 이용되는 말뚝기초, 가설흙막이 및 연약지반의 설계 및 시공에 관련된 분야를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2. 지반 및 구조물의 상호 거동을 파악하여 관련분야의 이해를 증진시킨다. 3. 건설분야의 전문적인 능력 향상을 도모한다.

    • English

      1. It aims to learn the fields related to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pile foundations, temporary mudguards and soft grounds, which are widely used in geotechnical practice. 2. Improve understanding of related fields by understanding the mutual behavior of the ground and structures. 3. We plan to improve professional skills in the construction fiel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지반공학 실무에서 널리 이용되는 말뚝기초, 가설흙막이 및 연약지반의 설계 및 시공에 관련된 분야를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2. 지반 및 구조물의 상호 거동을 파악하여 관련분야의 이해를 증진시킨다. 3. 건설분야의 전문적인 능력 향상을 도모한다.

  • English

    1. It aims to learn the fields related to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pile foundations, temporary mudguards and soft grounds, which are widely used in geotechnical practice. 2. Improve understanding of related fields by understanding the mutual behavior of the ground and structures. 3. We plan to improve professional skills in the construction field.

닫기
4/1학기 전선 4133112
철도궤도공학 (Railway Track Engineering)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112
  • 교과목명 : 철도궤도공학 (Railway Track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철도는 차량, 인프라, 전력, 신호 및 통신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 철도 전반의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철도시스템에 대한 개론과 철도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궤도의 거동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3. 본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철도공학 전반 및 궤도의 거동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 English

      1. The railway is the complex system that consists of vehicles, infrastructures, electric power supply, signal and communication. The object of this class is to provide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railway system to the students. 2. This course provides the overall introduction about the railway system. Then, the focus is made on the railway track engineering that is the core part of the railway infrastructures. 3. From this course, the students can have the overall knowledge about the railway system, especially for the railway track behavior.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철도는 차량, 인프라, 전력, 신호 및 통신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 철도 전반의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철도시스템에 대한 개론과 철도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궤도의 거동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3. 본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철도공학 전반 및 궤도의 거동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 English

    1. The railway is the complex system that consists of vehicles, infrastructures, electric power supply, signal and communication. The object of this class is to provide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railway system to the students. 2. This course provides the overall introduction about the railway system. Then, the focus is made on the railway track engineering that is the core part of the railway infrastructures. 3. From this course, the students can have the overall knowledge about the railway system, especially for the railway track behavior.

닫기
4/1학기 전선 4133113
위성관측정보분석과활용 (Satellite Observation Data Analysis and Application)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113
  • 교과목명 : 위성관측정보분석과활용 (Satellite Observation Data Analysis and Appli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원격 탐사는 지구 표면의 정보를 획득하고 과학 기술로서 위성에서 방출되는 전자기 에너지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됩니다. 측정 된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하고 분석 할 수 있음을 배웁니다. 2. 수업은 강의 토론, 프리젠 테이션, 실제 응용 프로그램, 현장 학습, 소프트웨어 처리 및 팀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3. 세계의 지리 정보는 일상 생활에서 점점 더 중요 해지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이러한 기술을 이해하기 위해 원격 감지 기술의 기초를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다양한 이미지 속성과 해당 출력 처리 방법에 대해 배웁니다.

    • English

      1. Remote exploration is carried out by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Earth's surface and measuring electromagnetic energy emitted by satellites as a science and technology. Learn that the measured data can be interpreted and analyzed in various ways. 2. Classes include lecture discussions, presentations, practical applications, field trips, software processing, and team projects. 3.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world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everyday life. And this technology aims to teach the fundamentals of remote sensing technology to understand these technologies. In this course, students learn about various image attributes and corresponding output processing method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원격 탐사는 지구 표면의 정보를 획득하고 과학 기술로서 위성에서 방출되는 전자기 에너지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됩니다. 측정 된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하고 분석 할 수 있음을 배웁니다. 2. 수업은 강의 토론, 프리젠 테이션, 실제 응용 프로그램, 현장 학습, 소프트웨어 처리 및 팀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3. 세계의 지리 정보는 일상 생활에서 점점 더 중요 해지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이러한 기술을 이해하기 위해 원격 감지 기술의 기초를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다양한 이미지 속성과 해당 출력 처리 방법에 대해 배웁니다.

  • English

    1. Remote exploration is carried out by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Earth's surface and measuring electromagnetic energy emitted by satellites as a science and technology. Learn that the measured data can be interpreted and analyzed in various ways. 2. Classes include lecture discussions, presentations, practical applications, field trips, software processing, and team projects. 3.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world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everyday life. And this technology aims to teach the fundamentals of remote sensing technology to understand these technologies. In this course, students learn about various image attributes and corresponding output processing methods.

닫기
4/2학기 전선 4133039
수자원공학 (Water Resource Engineering)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39
  • 교과목명 : 수자원공학 (Water Resource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수자원을 생물이나 인간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목표이다. 2. 강수, 지표수, 지하수, 해수 등에 대해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물 사정과 새로운 수자원의 개발의 필요성에 대하여 공부한다. 3. 학생들은 수자원의 중요성과 보존과 보호, 활용데 필요한 기본 개념들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research and understand water resources so that they can be used in living or human life. 2. Students will understand precipitation, surface water, groundwater, seawater, etc., and study the need to develop water resources and develop new water resources in Korea. 3. Students learn the importance of water resources and the basic concepts necessary for conservation, protection and us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수자원을 생물이나 인간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목표이다. 2. 강수, 지표수, 지하수, 해수 등에 대해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물 사정과 새로운 수자원의 개발의 필요성에 대하여 공부한다. 3. 학생들은 수자원의 중요성과 보존과 보호, 활용데 필요한 기본 개념들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research and understand water resources so that they can be used in living or human life. 2. Students will understand precipitation, surface water, groundwater, seawater, etc., and study the need to develop water resources and develop new water resources in Korea. 3. Students learn the importance of water resources and the basic concepts necessary for conservation, protection and use.

닫기
4/2학기 전선 4133054
해안공학 (Coastal Engineering)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54
  • 교과목명 : 해안공학 (Coastal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해안의 정의와 파랑과 조석의 작용을 이해하는 것이 목표이다. 2. 해안·하구 등에서 파랑과 흐름의 문제, 해안토사의 문제, 해안침식 방지 ·퇴적 방지 등을 고려한 해안구조물의 위치선정과 구조설계, 해안부근의 공장폐수, 발전소 냉각 후의 온수처리 문제와 대책 등을 학습한다. 3. 학생들은 해안을 개발할 때에 해안 환경을 보존하고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the coast and the action of waves and tides. 2. Location and structure design of coastal structures in consideration of wave and flow problems in the coastal and estuary, coastal sedimentation, prevention of coastal erosion, and prevention of sedimentation, factory wastewater near the coast, hot water treatment problems and measures after cooling the power plant, etc. To learn. 3. Students develop skills to preserve the coastal environment and prevent damage when developing the coas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해안의 정의와 파랑과 조석의 작용을 이해하는 것이 목표이다. 2. 해안·하구 등에서 파랑과 흐름의 문제, 해안토사의 문제, 해안침식 방지 ·퇴적 방지 등을 고려한 해안구조물의 위치선정과 구조설계, 해안부근의 공장폐수, 발전소 냉각 후의 온수처리 문제와 대책 등을 학습한다. 3. 학생들은 해안을 개발할 때에 해안 환경을 보존하고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the coast and the action of waves and tides. 2. Location and structure design of coastal structures in consideration of wave and flow problems in the coastal and estuary, coastal sedimentation, prevention of coastal erosion, and prevention of sedimentation, factory wastewater near the coast, hot water treatment problems and measures after cooling the power plant, etc. To learn. 3. Students develop skills to preserve the coastal environment and prevent damage when developing the coast.

닫기
4/2학기 전선 4133069
종합설계 (Capstone Design)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69
  • 교과목명 : 종합설계 (Capstone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0-(3)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토목 공학의 주요 분야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구조, 지반, 수리, 측량 및 프로젝트의 계획, 설계, 구축 및 유지 보수의 전 과정을 통해 토목 공학의 현실을 체험합니다. 2. 4 ~ 5 명의 팀을 구성하여 주제를 선택하고 프로젝트를 실행합니다. 그러면 학생들은 전반적인 디자인에 대해 배우고 팀 할당을 통해 협력과 커뮤니케이션을 배웁니다. 3. 학부 과정을 졸업 한 후 사회 발전에 필요한 설계 프로세스를 체험함으로써 팀워크의 중요성을 인식합니다. 그리고 토목 기사로서 필요한 설계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취득한 주요 지식을 창조적으로 활용합니다.

    • English

      1. Select one of the major areas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 soil, repair and surveying, and experience the realities of civil engineering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planning, designing,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any project. 2. Create a team of 4-5 people to select a topic and carry out the project. Through this, students learn about the overall design and learn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team assignments. 3.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amwork by experiencing the design process necessary for social advancement after graduation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And creatively utilize the acquired major knowledge to cultivate the necessary design skills as a civil engineer.

    닫기
3 0 0 (3) 상세보기
  • 국문

    1. 토목 공학의 주요 분야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구조, 지반, 수리, 측량 및 프로젝트의 계획, 설계, 구축 및 유지 보수의 전 과정을 통해 토목 공학의 현실을 체험합니다. 2. 4 ~ 5 명의 팀을 구성하여 주제를 선택하고 프로젝트를 실행합니다. 그러면 학생들은 전반적인 디자인에 대해 배우고 팀 할당을 통해 협력과 커뮤니케이션을 배웁니다. 3. 학부 과정을 졸업 한 후 사회 발전에 필요한 설계 프로세스를 체험함으로써 팀워크의 중요성을 인식합니다. 그리고 토목 기사로서 필요한 설계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취득한 주요 지식을 창조적으로 활용합니다.

  • English

    1. Select one of the major areas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 soil, repair and surveying, and experience the realities of civil engineering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planning, designing,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any project. 2. Create a team of 4-5 people to select a topic and carry out the project. Through this, students learn about the overall design and learn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team assignments. 3.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amwork by experiencing the design process necessary for social advancement after graduation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And creatively utilize the acquired major knowledge to cultivate the necessary design skills as a civil engineer.

닫기
4/2학기 전선 4133074
현장실습1 (Field Training 1)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74
  • 교과목명 : 현장실습1 (Field Training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4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전공관련 산업체의 실습을 통해 전공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시공, 설계, 공공기관, 공사, 대기업, 중소기업 등 진로분야의 전문 지식을 습득한다. 3. 전공의 취업 진로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다.

    • English

      1. It aims to acquire the knowledge of the major through the practice of the industry related to the major. 2.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design, public institutions, construction, large compan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3. Acquire information on the career path of the major.

    닫기
3 0 40 상세보기
  • 국문

    1. 전공관련 산업체의 실습을 통해 전공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시공, 설계, 공공기관, 공사, 대기업, 중소기업 등 진로분야의 전문 지식을 습득한다. 3. 전공의 취업 진로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다.

  • English

    1. It aims to acquire the knowledge of the major through the practice of the industry related to the major. 2.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design, public institutions, construction, large compan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3. Acquire information on the career path of the major.

닫기
4/2학기 전선 4133078
건설관리학 (Construction Management)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78
  • 교과목명 : 건설관리학 (Construction Manage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토질역학 및 기초공학 이론을 바탕으로 건설의 전반적인 관리 체계를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2. 공정관리 및 물량산출에 대한 이론을 습득한다. 3. 실무에서 적용되는 건설의 기본적인 흐름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purpose is to acquire the overall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based on the theory of soil mechanics and basic engineering. 2. Learn the theory of process management and quantity calculation. 3. Learn the basic flow of construction applied in practic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토질역학 및 기초공학 이론을 바탕으로 건설의 전반적인 관리 체계를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2. 공정관리 및 물량산출에 대한 이론을 습득한다. 3. 실무에서 적용되는 건설의 기본적인 흐름을 습득한다.

  • English

    1. The purpose is to acquire the overall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based on the theory of soil mechanics and basic engineering. 2. Learn the theory of process management and quantity calculation. 3. Learn the basic flow of construction applied in practice.

닫기
4/2학기 전선 4133080
터널공학 (Tunnel Engineering)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80
  • 교과목명 : 터널공학 (Tunnel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터널 건설에 필요한 기본적인 이론 및 설계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2. 터널시공에 대한 기본계획수립,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process 를 이해하여 터널공학 실무를 습득한다. 3. 실무에서 적용되는 터널의 시공에 대한 기본적인 흐름을 습득한다.

    • English

      1. It aims to acquire the basic theory and design necessary for tunnel construction. 2. Understand the basic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rocesses for tunnel construction, and acquire tunnel engineering practices. 3. Learn the basic flow of tunnel construction applied in practic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터널 건설에 필요한 기본적인 이론 및 설계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2. 터널시공에 대한 기본계획수립,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process 를 이해하여 터널공학 실무를 습득한다. 3. 실무에서 적용되는 터널의 시공에 대한 기본적인 흐름을 습득한다.

  • English

    1. It aims to acquire the basic theory and design necessary for tunnel construction. 2. Understand the basic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rocesses for tunnel construction, and acquire tunnel engineering practices. 3. Learn the basic flow of tunnel construction applied in practice.

닫기
4/2학기 전선 4133096
도로계획및설계 (Road Planning and Design)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096
  • 교과목명 : 도로계획및설계 (Road Planning and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도로선형, 교차, 포장에 관한 기초적 지식과 수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고 도로설계의 기초자료획득을 위한 측량 업무와 설계를 위한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학습한다. 2. 최근에 우리학교에서 시도하고 있는 문제중심학습 방법을 채택하여 토론중심의 교육을 실시하고자 한다. 3. 공학실무에 필요한 기술, 방법, 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및 공학적 해결방안이 세계적,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상황에 끼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폭 넓은 능력을 배양하고 도로설계 결과의 각 사안별로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설계의 중요성을 이해시킨다.

    • English

      1. Acquire skills to solve problems through basic knowledge and formulas on road linearity, crossing, and pavement, and learn how to use surveying software and design software to acquire basic data for road design. 2. The PBL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currently being tried in our school is adopted to conduct discussion-oriented education. 3Cultivating a wide range of competencie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engineering solutions and engineering solutions on global,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ituations, and the impact of road design results on each issue. Explain the impact,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design.

    닫기
3 1 0 (2) 상세보기
  • 국문

    1. 도로선형, 교차, 포장에 관한 기초적 지식과 수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고 도로설계의 기초자료획득을 위한 측량 업무와 설계를 위한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학습한다. 2. 최근에 우리학교에서 시도하고 있는 문제중심학습 방법을 채택하여 토론중심의 교육을 실시하고자 한다. 3. 공학실무에 필요한 기술, 방법, 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및 공학적 해결방안이 세계적,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상황에 끼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폭 넓은 능력을 배양하고 도로설계 결과의 각 사안별로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설계의 중요성을 이해시킨다.

  • English

    1. Acquire skills to solve problems through basic knowledge and formulas on road linearity, crossing, and pavement, and learn how to use surveying software and design software to acquire basic data for road design. 2. The PBL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currently being tried in our school is adopted to conduct discussion-oriented education. 3Cultivating a wide range of competencie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engineering solutions and engineering solutions on global,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ituations, and the impact of road design results on each issue. Explain the impact,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design.

닫기
4/2학기 전필 4133105
토목구조전산설계 (Computational Design of Civil Structures)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33105
  • 교과목명 : 토목구조전산설계 (Computational Design of Civil Structure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토목구조물을 경제적이고 사용목적에 적합하며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설계하기 위하여, 범용구조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물의 모델링 및 해석기법을 공부한다. 2. 교과목의 주요 내용은 단순보 해석, 캔틸레버보 해석, 트러스 해석, 아치 해석, 연속보 해석, 프레림 해석, 경사지지점이 있는 프레임 해석, 스프링 해석, 강제변위해석, 이동하중 해석 등이다. 3. 범용해석프로그램으로는 현재 업계나 학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MIDAS-Civil을 이용하여 다양한 토목구조물의 해석 및 설계하는 방법을 실습을 통하여 습득한다.

    • English

      1. In order to design civil structures economically, suitable for use, and structurally safe, students study modeling and analysis techniques of structures using general structural analysis program. 2. The main contents of the course are simple beam analysis, cantilever beam analysis, truss analysis, arch analysis, continuous beam analysis, framing analysis, frame analysis with slope support, spring analysis, forced displacement analysis, and moving load analysis. 3. Students will learn how to analyze and design various civil structures using MIDAS-Civil, which is currently used in industry and academia.

    닫기
3 1 0 (2) 상세보기
  • 국문

    1. 토목구조물을 경제적이고 사용목적에 적합하며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설계하기 위하여, 범용구조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물의 모델링 및 해석기법을 공부한다. 2. 교과목의 주요 내용은 단순보 해석, 캔틸레버보 해석, 트러스 해석, 아치 해석, 연속보 해석, 프레림 해석, 경사지지점이 있는 프레임 해석, 스프링 해석, 강제변위해석, 이동하중 해석 등이다. 3. 범용해석프로그램으로는 현재 업계나 학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MIDAS-Civil을 이용하여 다양한 토목구조물의 해석 및 설계하는 방법을 실습을 통하여 습득한다.

  • English

    1. In order to design civil structures economically, suitable for use, and structurally safe, students study modeling and analysis techniques of structures using general structural analysis program. 2. The main contents of the course are simple beam analysis, cantilever beam analysis, truss analysis, arch analysis, continuous beam analysis, framing analysis, frame analysis with slope support, spring analysis, forced displacement analysis, and moving load analysis. 3. Students will learn how to analyze and design various civil structures using MIDAS-Civil, which is currently used in industry and academia.

닫기
4/2학기 전선 4133115
교량공학 (Bridges Engineering)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33115
  • 교과목명 : 교량공학 (Bridges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1. 교량공학를 통해 교량의 다양한 형식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교량은 토목구조물 중 가장 중요한 구조 중 하나로 본 교과에서는 교량의 다양한 형식에 따른 차이와 발생 원인에 대해 학습한다. 3. 본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교량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와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1. It aims to acquire knowledge about various types of bridges through bridge engineering. 2. Bridge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structures in civil structures. In this subject, students learn about differences and causes of various types of bridges. 3.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overall outline and differences of the bridg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1. 교량공학를 통해 교량의 다양한 형식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교량은 토목구조물 중 가장 중요한 구조 중 하나로 본 교과에서는 교량의 다양한 형식에 따른 차이와 발생 원인에 대해 학습한다. 3. 본 과목을 통하여 학생들은 교량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와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다.

  • English

    1. It aims to acquire knowledge about various types of bridges through bridge engineering. 2. Bridge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structures in civil structures. In this subject, students learn about differences and causes of various types of bridges. 3.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overall outline and differences of the bridge.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